소소한배움3 [Python] 전역변수를 사용해보자 파이썬 공부를 하고있지만 대부분 코테문제풀이 위주여서........ 한번에 함수를 두세개씩 돌리는 문제가 아직까지 많이 없었기때문에(아직 쉬운거만 풀었으니까..😭) 그래서 이번에 함수를 쪼개는 방향으로 도전해서 일단 깃에 풀이를 올려뒀는데... 방금 블로그에 정리하고싶어서 개념을 다시 한번 읽어보다가 틀린부분을 발견해서 매우 부끄러워하는중이다ㅜㅜ 평생 못잊어버릴듯.. 꿈에도 나올듯ㅠㅠ 전역변수 선언 방법 🍒1. 함수 밖에서 global num1, num2 num1 = 1 num2 = 2 def test1(): global num1#이렇게 함수 안에서도 global을 해주지 않으면 전역변수 취급을 안해줌 num1 = 100 num2 = 200 print('출력테스트1 : ', num1, num2) test.. 2020. 11. 10. [Python] 파이썬에는 switch/case가 없다니 제목이 너무 길다고 생각하며 글을 쓰는 중..... 백준 if문 풀다가 시험성적(90~은 A, 80~ B ..) 문제가 있길래 파이썬에서 스위치를 본적이 없는거같은데🤔하고 찾아보니 정말없었다...! 대신 if-elif를 쓰라고 합니다... 2020. 11. 7. [Python] input()과 sys.stdin.readline() 백준을 풀다가 빠르게 하라는 조건이 붙어서 알게된 친구다. Python을 사용하고 있다면, input 대신 sys.stdin.readline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때는 맨 끝의 개행문자까지 같이 입력받기 때문에 문자열을 저장하고 싶을 경우 .rstrip()을 추가로 해 주는 것이 좋다. 라고 문제에 써있었다... input() 내장함수로 취급 입력이 없는데 수행될 경우 에러 sys.stdin.readline() 짱짱빠름 import sys 선언 필요 sys에 속하는 file object 취급 (입력만 받는 버퍼를 만들어서 버퍼에서 읽어들이는식) 입력이 없는데 수행될 경우 빈 문자열 반환 s = sys.stdin.readline() #fff 2020. 11. 6. 이전 1 다음